법정 기부금 vs 지정 기부금, 뭐가 다를까? 기부 전 반드시 알아야 할 공제 차이

 

“내가 낸 기부금, 다 세액공제 되는 거 아니야?”

연말정산 시즌마다 가장 많이 듣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정답은 “아닙니다.”
기부금이라고 전부 똑같은 공제 혜택을 받는 건 아니에요.

기부금은 법적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바로 ‘법정 기부금’과 ‘지정 기부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둘의 차이점부터, 누가 얼마까지 공제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기부할 때 주의할 점까지 완벽하게 정리해드릴게요.


법정 기부금 vs 지정 기부금 차이점과 혜택



법정 기부금이란?



법정 기부금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적십자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공공성 강한 기관에 기부한 금액을 말합니다.


대표 적인 법정 기부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기부

  • 국방헌금, 재해구호금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적십자사


법정기부는 얼마나 공제 혜택을 받게 될까요?

✅ 공제 혜택

  • 소득금액의 100%까지 공제 가능!

  • 세액공제율:

    • 1,000만 원 이하 → 15%

    • 1,000만 원 초과 → 30%


📌법정 기부는 사실  한도 제한이 거의 없어서, 고액 기부자일수록 많은 공제를 받아 유리합니다.



지정 기부금이란?




지정 기부금은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정한 비영리기관으로, 공익성을 갖고 있지만 법정 기부금보다 범위가 넓은 편입니다.


 대표적인 지정 기부금

  • 종교단체(교회, 절 등)

  • 장학재단, 병원, 복지법인

  • 환경보호단체, 재단법인 등


지정 기부는 어느 정도의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요?


✅ 공제 혜택


  • 소득금액의 30%까지만 공제 가능

  • 세액공제율:

    • 1,000만 원 이하 → 15%

    • 1,000만 원 초과 → 30%


📌 대부분 종교 단체에 기부를 많이 하시죠? 종교단체 기부금도 지정 기부금으로 분류되며, 소득금액 30% 한도가 적용됩니다. 

법정 기부와는 달리 3천만, 4천만원을 기부해도 30%까지만 공제가 가능하다는 점 잊지 마세요!


💬 “혹시 고액 기부하셨나요? 그렇다면  법정 기부금 여부를 확인하세요.
공제 한도 차이로 수백만 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부금 세액공제를 얼마까지 받을 수 있는지 정확히 알아보도록 하세요.

제대로 아는 것과 대충 아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거든요.






법정 기부금 세액공제



 법정 vs 지정 기부금


법정 기부금과 지정기부금의 차이를 한눈에 보시라고 표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항목 법정 기부금 지정 기부금
공공성 매우 높음 공익성은 있으나 다양함
한도 소득금액 100% 소득금액 30%
공제율 15~30% 15~30%
대표 기관 적십자사, 공동모금회 종교단체, 장학재단
공제 방식 세액공제 세액공제
고액 기부자 유리 여부 ✅ 매우 유리 🔸 한도 있음



기부 전 체크리스트


기부를 하기 전에 아래 항목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 이 기관은 법정 기부금인가요, 지정 기부금인가요?
✅ 기부금 영수증은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 연동되나요?
✅ 공제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기부 시기 조절을 고려했나요?




마무리: 기부는 마음이지만, 공제는 전략입니다


법정 기부금과 지정 기부금의 차이는 단순한 분류 문제가 아니라,
연말정산에서 받을 수 있는 실질적인 세액공제 금액을 좌우합니다.

좋은 일을 하면서 절세 혜택까지 챙기고 싶다면,
기부 전 한 번 더 확인하고, 똑똑하게 선택하세요!




다음 이전